천자문(千字文)이란
한문(漢文) 초학자를 위한 교과서 겸 습자교본. 1권. 중국 남조(南朝) 양(梁)의 주흥사(周興嗣:470?∼521)가 글을 짓고 동진(東晉)의 왕희지(王羲之)의 필적 중에서 해당되는 글자를 모아 만들었다고 하며 사언고시(四言古詩) 250구(句), 합해서 1,000자가 각각 다른 글자로 되어 있다. 내용은 ‘천지현황(天地玄黃)’에서 시작하여 ‘언재호야(焉哉乎也)’로 끝난다. 당나라 이후 급격히 보급되어 많은 서가(書家)에 의하여 쓰여졌으며 그 중에서도 습자교본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왕희지의 7대손 지영(智永)이 진서(眞書:楷書)와 초서(草書)의 두 체로 쓴 《진초천자문(眞草千字文)》본으로 1109년에 새긴 석각(石刻)이 전하고 있다. 송대(宋代) 이후 이용범위가 점점 확대되어 《천자문》의 순서를 이용하여 문서 등의 번호를 붙이는 습관도 생기고 또 《속천자문》이 나오는가 하면 전연 딴 글자를 뽑아 《서고천자문(敍古千字文)》이라 이름붙인 종류도 많이 나왔다. 이 책이 한국에 전해진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백제 때 왕인(王仁)이 《논어(論語)》 10권과 함께 이 책 1권을 일본에 전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보다 훨씬 전에 들어온 것으로 추측된다. 그 후 한문의 입문서로서 초보자에게는 필수의 교과서로 중용(重用)되었으며 선조 때의 명필 석봉(石峯) 한호(韓濩)가 쓴 《석봉천자문》은 유명하다.
景(경치 경)行(다닐 행/항렬 항)維(벼리 유)賢(어질 현)
행실을 훌륭하게 하고 당당하게 행하면 어진 사람이 된다는 것을 말한다.
克(이길 극)念(생각 념)作(지을 작)聖(성인 성)
성인의 언행을 잘 생각하여 수양을 쌓으면 자연 성인이 됨을 말한다.
德(덕 덕)建(세울 건)名(이름 명)立(설 립)
항상 덕을 가지고 세상일을 행하면 자연 이름도 서게 된다.
形(모양 형)端(바를 단)表(겉 표)正(바를 정)
몸 형상이 단정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또 표면에 나타난다.
空(빌 공)谷(골 곡)傳(전할 전)聲(소리 성)
산골짜기에서 크게 소리치면 그대로 전한다. 즉 악한 일을 당하게 된다.
虛(빌 허)堂(집 당)習(익힐 습)聽(들을 청)
빈방에서 소리를 내면 울려서 다 들린다. 즉 착한 말을 하면 천리 밖에서도 응한다.
禍(재앙 화)因(인할 인)惡(악할 악/미워할 오)積(쌓을 적)
재앙은 악을 쌓음에 인한 것이므로 재앙을 받는 이는 평일에 악을 쌓았기 때문이다.
福(복 복)緣(인연 연)善(착할 선)慶(경사 경)
복은 착한 일에서 오는 것이니 착한 일을 하면 경사가 온다.
尺(자 척)璧(구슬 벽)非(아닐 비)寶(보배 보)
한 자 되는 구슬이라고 해서 결코 보배라고는 할 수 없다.
寸(마디 촌)陰(그늘 음)是(옳을/이 시)競(다툴 경)
한 자 되는 구슬보다도 잠깐의 시간이 더욱 귀중하니 시간을 아껴야 한다.
資(자료 자)父(아비 부)事(일/섬길 사)君(임금 군)
아비를 자료로 하여 임금을 섬길지니 아비 섬기는 효도로 임금을 섬겨야 한다.
曰(가로 왈)嚴(엄할 엄)與(더불 여)敬(공경할 경)
임금을 대하는 데는 엄숙함과 공경함이 있어야 한다.
孝(효도 효)當(마땅할 당)竭(다할 갈)力(힘 력)
부모를 섬길 때에는 마땅히 힘을 다하여야 한다.
忠(충성 충)則(곧 즉/법 칙)盡(다할 진)命(목숨 명)
충성함에는 곧 목숨을 다하니 임금을 섬기는 데 몸을 사양해서는 안된다.
臨(임할 림)深(깊을 심)履(밟을 리)薄(얇을 박)
깊은 곳에 임하듯 하며 얇은 데를 밟듯이 세심 주의하여야 한다.
夙(일찍 숙)興(흥할 흥)溫(따뜻할 온)淸(서늘할 정)
일찍 일어나서 추우면 덥게, 더우면 서늘케 하는 것이 부모 섬기는 절차이다.
似(같을 사)蘭(난초 란)斯(이 사)馨(향기 형)
난초같이 꽃다우니 군자의 지조를 비유한 것이다.
如(같을 여)松(소나무 송)之(갈 지)盛(성할 성)
솔 나무같이 푸르러 성함은 군자의 절개를 말한 것이다.
川(내 천)流(흐를 류)不(아니 불)息(쉴 식)
내가 흘러 쉬지 아니하니 군자의 행지를 말한 것이다.
淵(못 연)澄(맑을 징)取(취할 취)暎(비칠 영)
못이 맑아서 비치니 즉 군자의 마음을 말한 것이다.
容(얼굴 용)止(그칠 지)若(같을 약)思(생각 사)
행동을 덤비지 말고 형용과 행지를 조용히 생각하는 침착한 태도를 가져라.
言(말씀 언)辭(말씀 사)安(편안 안)定(정할 정)
태도만 침착할 뿐 아니라 말도 안정케 하며 쓸데없는 말을 삼가라.
篤(도타울 독)初(처음 초)誠(정성 성)美(아름다울 미)
처음부터 돈독히 하고 신중히 하여야 한다.
'한문연구의 실제(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의 이해(3탄) (0) | 2009.11.09 |
---|---|
明心寶 鑑 全篇 理解 資料! (0) | 2009.11.05 |
공자의 사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 (0) | 2009.11.05 |
▣ 한문 이해의 기본 ! (0) | 2009.11.05 |
천자문의 이해와 풀이!<1탄> (0) | 2009.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