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 것도 갖지 않았지만 모든 것을 다 가진 존재가 있다.
햇볕과 물과 공기다.
햇볕과 물과 공기는 모양이나 질량은 다르지만 그 속성은 비슷하다. 햇볕과 공기와 물은 틈새만 있으면 어디든지 다 들어 간다.
햇볕은 따뜻함과 사랑의 대명사다.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누구에게나 골고루 비춘다.
지구상의 모든 존재, 나무나 풀, 동물은 햇볕을 받지 아니하면 생명을 부지할 수 없다. 그러나 사람을 해롭게 하는 세균은 살아 남지 못한다. 코로나 역시 마찬가지다. 햇볕에는 5분을 견디지 못한다.
물은 겸손함의 대명사다. 낮은 곳으로만 낮은 곳으로만 흐른다. 그리고 마침내 大海에 이른다. 동양의 성자라고 일컫는 노자는 “최고의 善은 물처럼 되는 것이다” 라는 뜻의 상선약수(上善若水) 라는 말을 남겼다.
물은 자기가 없다. 동그란 그릇에 담으면 동그랗게 되고 네모진 그릇에 담기면 네모진 모습이 된다. 그러나 고유의 성질이나 本 바탕은 어떤 경우에도 변하지 않는다.
물은 평소에는 잔잔하고 수평을 유지하지만 한 번 일어서서 움직이면 당해 낼 장사가 없다. 흐르는 물은 先後를 다투지 않는다. 그래서 생긴 말이 유수부쟁선(流水不爭先)이다. 어짐과 겸허함과 대도(大道)의 극치다.
공기(空氣)는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지금 이 순간 얼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코다. 눈은 잠시 감고 있어도 되고, 귀도 잠시 닫고 있어도 되고, 입도 잠시 말은 하지 않거나 하루쯤 음식을 먹지 않아도 되지만, 코로 5분만 숨을 쉬지 않으면 사람은 거의 죽거나 실신(失神)한다.
공기는 바람을 일으킨다. 바람은 공기의 흐름이다. 햇볕은 지하 깊은 곳에는 못 들어 가고 물도 높은 곳에는 못 올라가지만 공기는 어디든지 다 간다. 못 가는 곳이 없다. 아무리 촘촘하게 짜 놓은 그물이라도 바람을 막을 수는 없다.
명상(冥想)에서의 최고의 경지가 '자유함'인데 그 경지를 이르는 말이 있다.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21세기는 빛과 바람의 시대이다. 빛은 사랑이고 바람은 기(氣)다.
지금 우주의 기운이 달라지고 있다. 氣를 잘 다스려야 한다. 코로나도 공기를 타고 전염된다. 병(病)은 좋지 않은 기운 즉 사기(邪氣)가 체내에 침범한 것이다. 사기가 마음에 침범하면 사람이 사악(邪惡)해 지고 몸에 침범하면 병이 생긴다.
그것을 극복하는 길은 바른 기운(氣運) 즉 정기(正氣)를 지니는 것이다. 바른 음식을 바르게 먹는 일이다. 그래서 배움이나 수양(修養)이 필요하다. 지금, 사람들의 마음이 조급하고 분별심이 없고 이기적이며 다분히 폭력적이다. 진영논리가 판치고 있다. 인내심, 배려, 이해, 존중심이 부족하다.
권력을 잡기 위해서라면, 한 번 잡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못할 일이 없는 듯하다. 국회의원이나 지도층 인사들의 말투를 보라. 시정잡배(市井雜輩)만도 못하다. 내로남불도 그 정도면 귀신도 울고 갈 정도다.
마음이 오염되니 말이 오염되고 말 같지 않은 말이 횡행하니 사회가 어수선하고 불안하다. 햇볕과 물과 공기의 속성을 닮아야 한다. 이제 심정과 사랑의 새로운 바람을 불러 일으켜야 한다. 그 바람은 신바람이다. 우리 이제 본향(本鄕)으로 돌아가자. 거기에 신바람(神風)이 불게 하자. ♥︎- 잠시 머무는 쉼터 中에서-♥︎
? 삶에서 ...?--故김수환추기경님의 글-
2,000년전 화산재에 덮였던 폼페이는 원래 5만여명이 살던 작은 도시였다. 비세비우스 산의 대 폭발이 있기전 화산재가 조금씩 뿜어져 나오는 며칠 동안 노예와 가난한 시민들은 서둘러 피난을 떠났다.
결국 파묻힌 2,000여명 은 귀족들과 돈 많은 상인들 이었다. 돈과 권력, 명예로 배부른 사람들은 마지막까지 자기의 저택을 지키려다가 결국 모든 것을 잃어버렸다.
태풍에 뿌리가 뽑히는 것은 큰 나무이지 잡초가 아니다.자신이 일등이라고 생각 한다면 먼저 이것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는 모두 지구 별에 놀러온, 여행객들 이라는 사실 말이다.
이곳에서 소풍을 끝내는 날 먼길을 떠나야한다. 여행이 즐거우려면 세가지 조건이 맞아야 한다.
첫째, 짐이 가벼워야 한다
둘째, 동행자가 좋아야한다
셋째, 돌아갈집이 있어야 한다
이 세상 모든 것들은 여기 사는 동안 잠시 빌려 쓰는 것이다. 여행 간 호텔에서의 치약 같은 것이다.
우리가 죽는 줄을 알아야 올바르게 살수 있다.
세상에는 없는게 3가지가 있는데~
1.정답이 없다.
2.비밀이 없다.
3.공짜가 없다.
죽음에 대해 분명히 알고 있는것 3가지가 있는데~
1. 사람은 분명히 죽는다
2. 나 혼자서 죽는다
3. 아무것도 가지고갈수없다
그리고 죽음에 대해 모르는 것 3가지 있다.
1. 언제 죽을지 모른다
2. 어디서 죽을지 모른다
3. 어떻게 죽을지 모른다
그래서 항상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모든 사람이 낳는 방법은 거의 비슷하지만, 그러나 죽는 방법은 천차 만별하다. 그래서 인간의 평가는 태어나는 것보다 죽는 것으로 결정된다.내가 세상에 올땐 나는 울었고, 내 주위의 모든 이들은 웃었다.
내가 이 세상을 떠나갈 땐 모든 사람들이 아쉬워 우는 가운데 나는 웃으며 홀홀히 떠나가자.
'일궈가꾸는 마음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움으로 남는 인생의 지혜◀*20220314일요단상* (0) | 2022.03.13 |
---|---|
♡삶이 힘들때는 다산 정약용선생님을 회고♡-*20220312토요단상* (0) | 2022.03.12 |
도산 12곡 전문 해석과 감상-*20220303*목요단상! (0) | 2022.03.02 |
♥자신을 볼 줄 아는 사람!♥*20220213일요단상* (0) | 2022.02.12 |
♡☆ 인생(人生)의 비결(秘訣) ☆♡20220212토요단상! (0) |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