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단취장(有短取長)'에 얽힌 얘기★♥*20211107월요단상*
조선의 실학자 성호 이익선생은 사물의 원리를 관찰한 "관물편"에서
단점이 있어도 그 속에 있는 장점을 볼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성호 이익선생 댁의 마당에 감나무 두 그루가 있었다.
한 그루는 대봉 감나무지만 일년에 겨우 서너개 열렸고,
다른 그루는 많이 열리지만 땡감 나무였습니다.
마당에 그늘도 많아지고,
장마 때면 늘 젖어있어 마당이 마를 날이 없었습니다.
둘 다 밉게 여긴 성호 선생이 톱으로 한 그루를 베어 내려고
두 감나무를 번갈아 쳐다보며 오가고 있었다.
그때 부인이 마당에 내려와 말하였다.
"이건 비록 서너개라도 대봉시라서 조상 섬기는 제사상에 올리기에 좋죠.
저건 땡감이지만 말려서 곶감이나 감말랭이 해두면 우리 식구들 먹기에 넉넉하죠."
그러고 보니 참 맞는 말이었다. 성호 선생은 둘 다 밉게 보았고,
부인은 둘 다 좋게 보았습니다.밉게 보면 못 났고, 좋게 보니 예쁜 것 이었습니다.
단점속에서 장점을 취한 부인의 말을 들은 성호 선생은
톱을 창고에 넣고 나오면서 웃었다. "하하하, 유단취장(有短取長)이구나!"
단점이 있어도 장점을 취할 것이 있다는 것입니다.
세상에 어떤 사람이든 장점만 갖고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고, 단점이 있으면 장점도 있는 것이 인간입니다.
그런데 장점은 보려 하지 않고,
보이는 단점만 지적하여 그를 나무라고 비난 한다면,
그 사람의 장점은 빛을 잃고 더욱 의기소침 해질 것임이 분명합니다.
유단취장(有短取長), 즉 단점이 있어도 장점을 볼 줄 알고 취할 줄 알아야 한다.
성호 이익선생이 들려주신 양면을 모두 볼 줄 아는 통섭(統攝, consilience)의 가치관입니다.
? 이진길후배님이 넘겨준 자료를 재편집해서 등재했습니다.
특히 성호사설의 저자 이익선생님은 우리 여주이가에서 자랑스런 할아버지로
또한 역사적으로도 존경받는 인물로 정평이 나 있어서...
저는 더 자신있게 등재하노니...즐감하는 시간되시길...!♥
♥국화꽃을 배경으로 한 사진들은 오늘 대구수목원를 찾아 갔더니
국화축제가 한창이라서 너무나 향기가 짙고 또 잘 다듬어놓았고
볼거리가 많아서 몇 장을 올렸으니 즐감하소서...!♥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535625&cid=46622&categoryId=46622
♥★잡보장경 '銘心不忘文(명심불망문)', 마음에 깊이 새겨 두고 잊지 않아야 할 글에서 배움★♥
★ 智者得利心不高 (지자득리심불고)
"슬기로운 사람은 유리해도 교만하지 않고"
★ 失利不下無愚癡 (실리불하무우치)
"불리하다고 해서 어리석거나 비굴하게 굴지 않습니다."
★ 所解義理稱實說 (소해의리칭실설)
"아는 대로 정의와 진리만을 설파하므로"
★ 諸有所言爲遮惡 (제유소언위차악)
"하는 말마다 악업을 막음으로써"
★ 安樂利益故宣辯 (안락이익고선변)
"안락하고 유익하게 두루 말로 베푼다면"
★ 爲令必解說是語 (위령필해설시어)
"그 말은 듣는 사람에게 기쁨을 줍니다."
★智者聞事不卒行 (지자문사부졸행)
"슬기로운 사람은 무엇을 듣고 알았다고 해서 함부로 행동하지 않고"
★思惟籌量論其實 (사유주량논기실)
"그것이 사실인지 깊이 생각하고 헤아린 다음에"
★ 明了其理而後行 (명료기리이후행)
"이치가 명확할 때 비로소 과감하게 행동합니다."
★ 或時默然如啞者 (혹시묵연여아자)
"때로는 벙어리처럼 말없이 침묵하고"
★ 或時言敎如王者 (혹시언교여왕자)
"때로는 제왕처럼 엄중하게 말하며"
★ 或時作寒猶如雪 (혹시작한유여설)
"때로는 한겨울 눈처럼 냉정하고"
★ 或時現熱如熾火 (혹시현열여치화)
"때로는 활활 타오르는 불처럼 뜨거워야 합니다."
★ 或時高大如須彌 (혹시고대여수미)
"때로는 須彌山(수미산) 처럼 높고 큰 자부심을 갖고"
★ 或時現卑如臥草 (혹시현비여와초)
"때로는 바람에 누운 풀처럼 스스로 자기를 낮춰야 합니다."
★ 或時堪忍苦樂事 (혹시감인고락사)
"때로는 괴로운 일과 즐거운 일을 참아 이겨내고"
★ 富貴强盛常嫌忍 (부귀강성상혐인)
"부귀가 강성하여 형편이 좋을 때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 於諸財寶如糞穢 (어제재보여분예)
"재물과 보배를 오물 처럼 여길 줄 알고"
★ 自在能調諸瞋恚 (자재능조제진에)
"치미는 분노와 노여움을 잘 다스려야 합니다."
★ 或時安樂縱伎樂 (혹시안락종기악)
"때로는 풍류 따라 바람처럼 흘러가며"
★ 或時恐怖猶如鹿 (혹시공포유여록)
"때로는 눈 큰 사슴 처럼 세상을 두려워 할 줄도 알고"
★ 或時威猛如虎狼 (혹시위맹여호랑)
"때로는 호랑이와 이리 처럼 용맹스러워야 합니다."
★ 觀時非時力無力 (관시비시역무력)
"때와 형편과 처지와 입장을 살필 줄 알고"
★ 能觀富貴及衰滅 (능관부귀급쇠멸)
"부귀는 흥망성쇠가 뒤바뀌게 됨을 알아야 합니다."
♥위 잡보장경의 내용과 해설은 지인이자 한문인성교육에 권위자인
김현룡대감이 주는 자료를 재편집해서 여러분과 함께 공부하고 지혜를 찾고
배워보자는 의도로 등재했으며, 현룡대감에 대한 고마움을 기록으로 남겨둡니다.♥
'한문연구의 실제(1)'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童蒙先習(동몽선습)의 이해와 실천!-*20220302수요단상!* (0) | 2022.03.02 |
---|---|
♥★고전과 명언에서 지혜 찾기!★♥-*20220117월요단상* (0) | 2022.01.17 |
♥★벗과 우정에 관한 고전에서의 가르침★♥20211106 (0) | 2021.11.06 |
♥★방랑시인 김삿갓의 명문장과 재담★♥ (0) | 2021.10.31 |
♥★해동소학에 대한 이해★♥*20211021수요단상* (0) | 2021.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