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승박덕(才勝薄德): 재주는 많으나 덕이 부족함을 일컫는 사자성어(四字成語)이다.
아는 것이나 능력은 뛰어나나 인품이 부족한 사람을 가리킬 때 쓰이며, 재조(才操) 곧 재주가 덕(德)을 이겨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요즘 젊은 엄마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자식을 천재로 키우려고하는 경우가 참 많은 것 같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으며 지도자의 위치에서 사회를 이끄는 사람은 천재가 아니라 덕이 높은 사람이라고 주장하고 싶다.
사람들은 천재를 부러워하지만 천재는 오래가지 못하고 덕은 분명 영원하다.
그러므로 머리 좋은 사람으로 키우기 전에 덕을 좋아하고 덕을 즐겨 베풀 줄 아는 사람으로 키워야 할 것이다.
공자는 천재불용(天才不用)이라며, 덕없이 머리만 좋은 사람은 아무짝에도 소용이 없다고 말씀하셨다.
이는 공자와 황택(皇澤)의 이야기에서 잘 알 수 있다.
어느 날 공자가 수레를 타고 길을 가는데 어떤 아이가 흙으로 성을 쌓고 놀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수레가 가까이 가도 아이는 비켜줄 생각을 하지 않았다.
"얘야. 수레가 지나갈 수 있도록 길을 비켜주겠느냐?"
그런데도 아이는 쭈그리고 앉아 하던 놀이를 계속하며 말했다고 한다.
"수레가 지나가도록 성이 비켜야 합니까? 아니면 수레가 성을 비켜 지나가야 합니까?"
아이의 말에 공자는 똑똑한 녀석이라고 생각하며 수레를 돌려 지나가려 했다.
그러다가 아이에게 이름과 나이를 물어보았더니, 이름은 황택이며 나이는 8살이라 했다.
이에 공자는 한 가지 물어보아도 되겠느냐 하며, “바둑을 좋아하느냐?” 하고 물어보았다.
그러자 황택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군주가 바둑을 좋아하면 신하가 한가롭고, 선비가 바둑을 좋아하면 학문을 닦지 않고, 농사꾼이 바둑을 좋아하면 농사일을 못하니 먹을 것이 풍요롭지 못하게 되거늘 어찌 그런 바둑을 좋아하겠습니까?"
아이의 대답에 놀란 공자는 한 가지 더 물어도 되겠냐고 하고는 "자식을 못 낳는 아비는 누구냐?"라고 물었다.
그러자 아이는 "허수아비"라고 대답했다.
“그러면, 연기가 나지 않는 불은 무엇이냐?"
"반딧불이입니다."
“그러면, 고기가 없는 물은 무엇이냐?"
"눈물입니다."
아이의 거침없는 대답에 놀란 공자는 입을 다물지 못했다고 한다. 그 순간 아이가 벌떡 일어서며, "제가 한 말씀 여쭤도 되겠습니까?"라고 말했다.
공자가 그렇게 하라고 이르자 아이는 이렇게 물었다.
"아주 추운 겨울에 모든 나무의 잎들이 말라 버렸는데 어찌 소나무만 잎이 푸릅니까?"
공자는 잠시 생각하다가 "속이 꽉 차서 그럴 것이다." 하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습니다.
"그렇다면 속이 텅 빈 저 대나무는 어찌하여 겨울에도 푸릅니까?"
그러자 공자는 "그런 사소한 것 말고 큰 것을 물어보아라"라고 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습니다.
"하늘에 별이 모두 몇 개입니까?"
"그건 너무 크구나"
"그럼 땅 위의 사람은 모두 몇 명입니까?"
"그것도 너무 크구나"
"그럼 눈 위의 눈썹은 모두 몇 개입니까?"
아이의 질문에 공자는 아무런 대답을 하지 못했다.
공자는 아이가 참 똑똑하다고 여겨 아이를 가르쳐 제자로 삼고 싶다는 생각을 잠시 했다고 한다.
하지만 공자는 아이가 머리는 좋으나 덕(德)이 부족해 궁극(窮極)에 이르지는 못할 것이라는 사실을 내다봤다.
그리하여 다시 수레에 올라가던 길을 계속 갔다고 한다.
실제로 황택의 이름은 그 이후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았고, 그의 천재성은 8살에서 끝이 난 것으로 보인다.
사람들은 머리로 세상을 산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머리가 세상에 미치는 영향보다 가슴이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다.
그러므로 머리에 앞서 덕을 쌓고 덕으로 세상을 살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할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상이 온갖 거짓과 모순(矛盾)과 악으로 넘쳐나는 것은 지식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덕이 모자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은 천재교육이 아니라 ‘재주가 덕을 이겨서는 안 된다’는 소박한 진리의 교육일 것입니다.
★- 지인에게서 받은 글, 재편집 및 정리-★
♥★'菜根譚(채근담)'에서 배움★♥
★ 待人春風(대인춘풍) ★ 持己秋霜(지기추상)
“남에게는 봄바람(=春風춘풍)처럼 따뜻하고 부드럽고 너그럽게 응대하며,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가을 서릿발(=秋霜추상)처럼 엄격해야 합니다.”
'春風秋霜(춘풍추상)’이라는 사자성어가 유래된 가르침입니다.
다른 사람에게는 관대하고 자기에게는 엄격하게 하라는 ‘寬人嚴己(관인엄기)'와 같은 맥락의 성어로 생각됩니다.
춘풍추상은 우리 모두가 갖춰야 할 덕목입니다.
★春風秋霜(춘풍추상)을 늘 가슴속에 되새기며 매사에 임해야 합니다.
남을 탓하기에 앞서서, 자신이 바른 생각을 하면서 바른 언행을 실천하고 있는지 항상 성찰해야 합니다.
또 다른 사자성어 '薄己厚人(박기후인)'을 되새깁니다.
'자신에게는 박하게 하고 남에게는 후하게 하라."라는 가르침입니다.
조선시대의 대 학자 퇴계 이황 선생은 '박기후인'의 정신을 스스로 실천함으로써 깊은 존경을 받았다고 합니다.
★ 接人春風 臨己秋霜
'접인춘풍 임기추상'도 글자는 다르지만 그 뜻은 대동소이하다.
春風秋霜(춘풍추상)과 상반되는 성어에는 ''持己春風(지기춘풍), 待人秋霜(대인추상)'이 있다.
자기에게는 봄바람처럼 관대하고, 남에게는 가을 서릿발 처럼 엄격하다는 의미입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변명과 남의 탓을 하며 쉽게 지나치지만, 다른 사람의 사소한 잘못에 대해서는 즐겨 비판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春風秋霜(춘풍추상)'의 관대한 삶을 살고 있는지, 아니면 "持己春風·他人秋霜(지기춘풍 타인추상)'의 이기적인 삶을 살고 있는지 수시로 성찰해 보아야 합니다.
공자님께서 말씀하신 寬人嚴己(관인엄기)도 같은 의미라오.
남에게 관대하고 자신에게 엄격하게 하라는 뜻입니다.
관인엄기와는 상반된 '我是他非(아시타비)'라는 '나는 옳고 다른 사람은 그르다'는 뜻의 한국적인 성어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자신에게는 무조건적으로 관대하고 다른 사람에게는 마냥 엄격한 것이다. '
대인관계에서 나 자신의 탓이란 인식이 있어야 자신의 과오를 고칠 수 있다.
♥위에서 제시된 문구와 의미가 유사한 것♥
★春風秋霜(춘풍추상) ★待人春風(대인춘풍)
★持己秋霜(지기추상) ★薄己厚人(박기후인)
★寬人嚴己(관인엄기)
'일궈가꾸는 마음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204토요단상!-즐거운 주말되소서...!★♥ (0) | 2021.12.04 |
---|---|
♥★진정 여유있는 삶이란?*법정스님의 글★♥-20211116화요단상- (0) | 2021.11.16 |
♥"정"ㅡ아름답고 졍겨운 글!♥ (0) | 2021.11.04 |
?★참 좋은 한마디!-*20211027수요단상!★♥ (0) | 2021.10.27 |
♥★<춘향전>의 백미로 꼽히는 명장면★♥ *20211019화요단상* (0) | 2021.10.19 |